트레이딩 일지 #106
욕심을 내어 도지코인을 매매하다가 5%의 손실을 봤다. 당시를 회고해보면, 시장 흐름을 확실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격이 흔들림에 따라 욕심이 생겨났고, 더 나아가 이에 기반한 판단에 확신이 생기는 확증편향이 생겼다.
사실 이와 동일한 경우가 투자를 처음 시작했을 때부터 발생됬는데, 아직까지도 관리하기가 어려운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나아지기 위해서 산책하며 고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선 이런 확증 편향이 생긴 원인은 분석 포스팅을 하지 않고 머리 속으로 판단한 것이다. 확증 편향이 생겨났더라도 분석 포스팅을 작성하면 논리가 정리되어, 해당 판단에 대한 합리성을 따져볼 수가 있다. 즉, 판단에 대한 검증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검증 없는 결과물은 지속되지 못한다. 따라서 분석 포스팅을 통해 검증 과정을 거침으로써 결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책을 하면서 이것 외에도 여러가지 생각을 했다.
- 가격 분석으로 흐름을 파악한 뒤에 RSI로 체크를 한다. RSI는 파악 용도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 분석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리스크 관리이다. 그러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물색해야 한다. 1순위가 리스크 관리, 2순위가 수익이다.
- 수익보다 중요한 것은 시스템의 정상 작동 유무이다.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된다면 수익은 자연스레 따라온다. 따라서 수익에 연연하면 안되고, 시스템이 변함없이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보수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수익은 결국 시스템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을 잘 유지하고 보수해야 한다. 이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리스크 관리이다. 리스크를 관리하면서도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분석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스크 관리가 우선이고, 수익은 자연스레 따라오는 것이므로 욕심내지 않는다.
나의 분석의 메인 도구는 엘리엇 파동 이론과 지지/저항이다. 이 도구들을 이용해서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RSI는 흐름 파악이 완료되었을 때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매매 복기
이전 분석에서 5파 연장형 충격 파동이 나타났다고 판단했고, 이에 해당 5파를 완전히 되돌릴 수 없다고 예상했다. 이에 최소한 파란색 박스권 구간까지는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그러지 못하고 흰색 추세선에서 지지를 받았다.
주요 추세선에서 지지를 받은 이후 충격 파동이 나타난 것을 보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는 섣부를 판단이었는데, 그 이유는 기간적으로 짧았기 때문이다. 앞서 나타난 5파 연장형 충격 파동이 7일에 걸쳐 형성되었는데, 그에 대한 조정이 하루만에 완료되는 것은 나의 경험상 본 적이 없다. 이로 인한 리스크를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판단에 대한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매매를 진행한 것은 옳지 못한 행동이었다.
앞으로는 반드시 검증 과정을 거쳐 매매를 해야겠다.
차트 분석
5파 연장형 충격 파동이 형성되고, 위와 같이 미달형 C파의 형태로 하나의 조정 파동이 완료되었다. C파가 미달형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매수세가 그 만큼 강하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뒤에 나온 파동이 고점을 높이는 형태가 나왔다. 이 고점을 높인 파동은 5-3-5 지그재그 파동으로 보인다.
B파동은 C파 연장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충격 파동의 1-2-3번 파동으로 보지 않는 이유는, C파가 61.8% 이상 되돌려졌고 1-2 채널을 하방 돌파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큰 조정 파동의 A-B파가 완료되었고, C파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3-3의 형태로 진행되었으므로, C파는 5의 형태로 진행되어 플랫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5의 형태로는 충격 파동과 다이아고날 패턴이 있다.
지금으로써 가장 유력해 보이는 것은 위와 같이 C파가 엔딩 다이아고날이 형성된 관점이다. 이로써 3-3-5 플랫 패턴이 마무리가 되고 새로운 파동이 시작될 것이다.
다시 계산해보니 플랫 패턴을 위와 같이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렇게 계산을 하면 A파와 C파의 비율이 1:1.13으로 깔끔하게 맞아 떨어진다.
아직 걱정이 되는 점은 기간이다. 약 2일 정도가 소요되며 하나의 조정 파동이 완성되었지만, 여전히 7일간 형성된 충격 파동 대비 조정 기간이 너무 짧다. 따라서 지금 형성된 조정 파동이 A파가 되는 더 큰 조정이 진행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해당 조정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날지는 모르겠으나, 앞서 형성된 플랫의 C파 종점을 하방 돌파할 확률은 적어보이다. 그 이유는 해당 플랫 파동이 강세 형태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위와 같은 채널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채널을 기준으로 매매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매매 전략
채널 하방 돌파 시 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