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비트코인
- 선물 투자
- 피보나치 되돌림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차트
- 투자
- 다이버전스
- 삼각수렴
- 트레이딩
- 해외투자
- 매매 전략
- 선물 매매
- 거래량
- 선물투자
- 지지 저항
- 차트 분석
- 엘리엇 파동
- 코인
- 선물
- 매매 복기
- 차트분석
- RSI지표
- 채널 매매
- 선물 옵션
- 헤드 앤 숄더
- 이동평균선
- 매물대
- 엘리어트 파동
- 엘리엇 파동 이론
- 해외 투자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19 큰 박스권 형성 본문
위 차트에서 볼 수 있듯, 수렴이 거의 완성되며 엄청난 거래량이 동반되고 있다.
내가 그은 지지선으로 비추어 보았을때, 10월 4일부로 해당 수렴 구간을 상향 돌파했다.
해당 돌파 구간을 확대해보면, 엄청난 거래량을 동반하며 해당 구간을 돌파한 이후에
특정 구간들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으며 횡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지와 저항이 어느 부근에서 발생하는지를 분석해보겠다.
일단 단순히 차트의 흐름상 대략적인 지지/저항선은 다음과 같다. (저항선:노란색, 지지선:초록색)
보통 지지/저항선은 이전 구간에서 거래량이 월등히 많은 구간이다.
따라서 해당 지지/저항선들이 어떤 구간에서 형성되었는지 파악해보겠다.
거래량이 월등히 많은 구간은 다음과 같이 세 곳이다.
해당 구간들의 변곡점에 선을 그어보니, 해당 선들이 현재의 차트에서 유의미한 영량력을 미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횡보장이 끝나는 시기는 언제인가?
8시간봉에서 보면, 횡보함에 따라 RSI가 점차 하락하고 있다.
RSI가 저점에 가까워진 시점에 횡보가 끝나면서 큰 폭의 움직임이 예상된다.
보통 상승 후 횡보(혹은 하락 후 횡보)의 경우, 다시 재상승하는 패턴으로써
꽤나 자주 보여지는 패턴이다.
예상한대로 흘러간다면, 대략 이러한 움직임이 보여질 것이다.
전략
박스권이 형성되었고 RSI가 저점까지 반밖에 안왔으니 지지/저항선의 위, 아래 구간에서 진입해야겠다.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21 조정 끝 상승 시작? (0) | 2023.02.15 |
---|---|
트레이딩 일지 #20 자만의 최후 (0) | 2022.10.11 |
트레이딩 일지 #18 단타 (0) | 2022.10.03 |
트레이딩 일지 #17 반등의 서막 (2) | 2022.10.01 |
트레이딩 일지 #16 CPI 숏빔 (1)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