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투자
- 엘리엇 파동 이론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트레이딩
- 차트 분석
- 삼각수렴
- 채널 매매
- 코인
- 비트코인
- 선물투자
- 차트
- 선물 투자
- 이동평균선
- 선물 매매
- 엘리엇 파동
- 매매 복기
- 해외 투자
- 매매 전략
- 피보나치 되돌림
- 엘리어트 파동
- 거래량
- 헤드 앤 숄더
- 매물대
- RSI지표
- 선물 옵션
- 선물
- 지지 저항
- 해외투자
- 차트분석
- 다이버전스
- Today
- Total
목록주식 분석 (5)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차트 분석위는 삼성전자의 로그 차트이다. 2008년부터 이어져 온 상승 채널이 24년 9월 2일에 하방 돌파되었다. 현재는 반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추세가 전환되었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43,800~46,500원에 형성된 중첩 구간에 도달하면 매수를 고려할 것이다. 해당 구간은 앞서 진행된 하락 추세(흰색 원)의 1:1~1:1.13 비율이 형성되는 지점이며, 이전 싸이클(2015~2022)의 POC(빨간색) 구간이고, 이전 싸이클의 피보나치 0.5 되돌림 구간이며, 로그가 아닌 일반 차트 상에서의 하락 채널 하단선이 위치해 있는 구간이다. 앞서 주요 상승 채널(빨간색)이 하방 돌파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적 요소들이 중첩되는 주요한 가격 구간이 아니고서는 섣불리 매수하면 ..

덕성은 합성피혁, 합성수지, 화장품용 소재, 연마포, 텍스타일 등, 화학공정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수원, 인천, 오산, 평택, 부산, 중국(광저우) 등에서 생산공장을 가동 중에 있고 생산능력, 기술 수준, 신제품 개발 능력 등 모든 면에서 최상의 업체로서 합성피혁 전체 시장 수요에 대해 안정적인 공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급상승에 대한 원인은 덕성의 위의 모델 때문이 아닌, 상온 초전도체 때문이다. 덕성은 초전도체 사업 프로젝트를 오랜 기간 추진해왔으며 초전도 마그네트를 상용 개발에 착수했던 이력이 부각되고 있다. (출처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얼핏 보면 상온 초전도체로 인한 잠깐의 이벤트성 반등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이벤트성 반등인지 아..

8월 10일 기준 CJENM의 2분기 영업손실이 3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1조 48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순손실은 1천232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주가는 하루 만에 -6%대로 하락하였다. 정말 끝도 없이 하락하는 와중에, 사업의 근간이 의심되는 듯한 악재가 터지면 일반적으로 정말 버티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정신 차리고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우선 CJ ENM의 주 사업 부문은 엔터테이먼트와 커머스 두 가지이다. 엔터테인먼트의 경우, 대기업의 이름에 걸맞게 그 덩치가 어마어마하다. 나열해 보자면, TV 쇼, 영화, 음악, 라이브 콘서트, 아티스트, 디지털 콘텐츠, 뮤지컬이 있다. 한 번 찾아보면..

아마 많은 사람들이 현재의 카카오를 보고 '망했다', 혹은 '다시 살아나기 어렵다' 등의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물론 최근 카카오가 구조조정이나 계열사 정리와 같은 악재가 발생되고 있고, 그에 따라 주가 또한 끝도 없이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주식 중 카카오만큼 탄탄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으면서, 고점 대비 70% 이상 하락한 주식이 없다고 생각된다. 우선 카카오의 주 사업 모델은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과 그와 관련된 부가 기능들이다. 특히 캐릭터 산업과 온라인 커머스가 엄청나게 발달해있는데, 이 두 개는 대량의 현금이 유통되는 사업이다. 카카오의 온라인 커머스의 시장 규모는 9조 1000억원으로, 이 중 3조 3000억 원은 선물하기 서비스이다. 국내 선물하기 시장의..

차트 분석 삼성전자보통주는 51,800원까지 하락하였다가 이후 반등한 모습이다. 2015년 8월에 시작한 추세가 2021년 1월 11일을 고점으로 하락하였다. 해당 파동을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통하여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2015년에 시작한 파동은 충격 파동의 형태로 나타났고, 조정 파동 이후 다시 충격 파동이 나타났다. 조정 파동 이후에 나타난 충격 파동의 경우, 제5파가 제3파의 고점을 넘기지 못한 절단된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는 제3파의 인플레이션이 심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를 거시적 경제 흐름에 대입해보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시장에 많은 돈을 유통하면서 발생한 현상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당 파동은 :5-:3-:5의 형태를 띠고 있으므로 지그재그 패턴이고, 종점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