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주식 분석 #덕성 새로운 시작 본문

주식 분석

주식 분석 #덕성 새로운 시작

SimonGong 2023. 8. 14. 17:22

덕성은 합성피혁, 합성수지, 화장품용 소재, 연마포, 텍스타일 등, 화학공정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수원, 인천, 오산, 평택, 부산, 중국(광저우) 등에서 생산공장을 가동 중에 있고 생산능력, 기술 수준, 신제품 개발 능력 등 모든 면에서 최상의 업체로서 합성피혁 전체 시장 수요에 대해 안정적인 공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급상승에 대한 원인은 덕성의 위의 모델 때문이 아닌, 상온 초전도체 때문이다. 덕성은 초전도체 사업 프로젝트를 오랜 기간 추진해왔으며 초전도 마그네트를 상용 개발에 착수했던 이력이 부각되고 있다.  (출처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얼핏 보면 상온 초전도체로 인한 잠깐의 이벤트성 반등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이벤트성 반등인지 아닌지는 차트를 분석해 보아야 알 수 있다. 정말로 이벤트성 반등인지 아닌지에 대한 차이로 다시 저점을 갱신하거나 아니면 이대로 고점을 갱신할 것이다.
따라서 이번에는 이벤트성 반등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과 예상 전개 과정을 살펴보겠다.


덕성, 1주, 2023.08.14

위는 덕성 주봉 차트이다. 얼핏 보더라도 엄청난 하락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덕성은 2021년 5월에 32,800원을 달성한 이후로 약 90%의 하락이 진행되었다.
 
이벤트성 반등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기를 파악해야 한다. 만약 해당 반등이 주기가 끝남으로 인한 반등이라면, 이는 이벤트성 반등이 아니게 된다. 그럴 경우 다시 한번 고점을 갱신한다.
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활용해 보겠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트레이딩 기초 #2 엘리어트 파동 이론, 피보나치 되돌림

엘리어트 파동 이론: 자연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움직이며, 이는 자연의 일부분인 인간에게도 적용된다. 즉, 인간의 행동이나 심리에도 적용이 되며, 이를 계량화하면 미래의 인간의 행동을

coinmon.tistory.com


엘리어트 파동 이론 분석

 

덕성, 1주, 로그

편의를 위해 로그 차트로 바꾸었다. 로그 차트로 바꾸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과매수가 진행되면, 추세를 파악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통한 파동 계산을 하는 데 있어 그 규칙이 중요한데, 로그 차트를 활용할 겨우 규칙을 지키며 계산하기 용이하다.
 

다음은 2021년 5월 이전까지의 파동에 대한 계산이다. :3-:3-:5의 형태로 진행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연결해 보면 다음과 같이 하나의 패턴이 완성되는데, 이를 플랫 파동이라 한다. 이로써 하나의 파동이 끝이 남과 동시에 상승 추세가 끝이 나고 하락 추세가 시작된다.
 

하락 추세에 대한 파동은 다음과 같이 :5-:3-:5 형태로 나타났다.
 

이를 연결해 보면 다음과 같이 하나의 패턴이 완성되는데, 이를 지그재그 파동이라 한다. 이로써 하나의 파동이 끝이 남과 동시에 하락 추세가 끝이 나고 상승 추세가 시작된다.
 

따라서 기본 차트로 돌아와 최종적인 파동의 형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로써 2008년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상승 주기와 그에 대한 조정까지 끝이 났다. 그에 따라 새로운 상승 주기가 시작될 차례이며, 최근 발생한 반등은 새로운 상승 주기가 시작함과 동시에 상온 초전도체 이벤트가 겹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파동들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조정 파동의 형태이다. 즉, 해당 사이클의 형태는 조정 파동의 형태가 된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따르면 조정 파동의 마지막 파동인 세 번째 파동은 충격 파동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번에 진행될 파동은 충격 파동의 형태로 나온다.
 

앞서 마지막 파동이자 세 번째 파동이 충격 파동으로 나온 사례가 있다. 해당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충격 파동의 경우 굉장히 가파르게 주가가 상승한다. 앞서 새로운 상승 주기가 시작함과 동시에 상온 초전도체 이벤트가 겹침에 따라 강한 반등이 나왔다고 했는데, 새로운 상승 주기가 충격 파동의 형태로 나타날 경우 강한 거래량과 함께 가파른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그 강한 반등에 대한 뒷받침이 된다.

조정 파동은 A파와 C파에 대한 비율은 최소 1:1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1:1의 비율로 상승했을 경우, 주가는 36,000원이 된다. 이는 현재 가격 대비 248%이다. 
 
현재로서 주의할 점은 충격 파동의 제2파이다. 충격 파동이 어떤 형태로 진행될지 아직까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제1파에 대한 조정인 제2파가 얼마나 하락할지를 알 수 없다. 제2파는 제1파의 99%까지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에 매수하기보다는 분할 매수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결론

목표가: 36,000원
손절가: 3,370원 (반등 시작가 밑)
전략: 분할 매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