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엘리엇 파동
- 선물 옵션
- 코인
- 헤드 앤 숄더
- 선물
- 선물투자
- 지지 저항
- 피보나치 되돌림
- 엘리엇 파동 이론
- 거래량
- 차트
- 해외 투자
- 비트코인
- 매매 전략
- 다이버전스
- 채널 매매
- 차트 분석
- 삼각수렴
- 투자
- 선물 매매
- 차트분석
- 매물대
- 엘리어트 파동
- RSI지표
- 선물 투자
- 해외투자
- 이동평균선
- 매매 복기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트레이딩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주식 분석 #카카오 기회의 카카오 본문
아마 많은 사람들이 현재의 카카오를 보고 '망했다', 혹은 '다시 살아나기 어렵다' 등의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물론 최근 카카오가 구조조정이나 계열사 정리와 같은 악재가 발생되고 있고, 그에 따라 주가 또한 끝도 없이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주식 중 카카오만큼 탄탄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으면서, 고점 대비 70% 이상 하락한 주식이 없다고 생각된다.
우선 카카오의 주 사업 모델은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과 그와 관련된 부가 기능들이다. 특히 캐릭터 산업과 온라인 커머스가 엄청나게 발달해있는데, 이 두 개는 대량의 현금이 유통되는 사업이다. 카카오의 온라인 커머스의 시장 규모는 9조 1000억원으로, 이 중 3조 3000억 원은 선물하기 서비스이다. 국내 선물하기 시장의 규모는 5조 원이며, 카카오는 전체 시장 중 약 70%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 4800만명의 카카오톡 이용자를 잠재 고객으로 삼는다.[출처 : 소비자평가(http://www.iconsumer.or.kr)]
따라서 카카오톡을 대체하는 수단이 나오지 않는 한 계속해서 대량의 현금이 유통된다. 그에 따라 2023년 3월 기준, 5조630억원의 잔여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분기별(3개월)로 평균 약 5.8%대의 꾸준한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업 모델과 그에 따른 우리나라의 트렌드로 보았을 때, 카카오의 몰락은 쉽게 생각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렇듯 현재 시점으로 가치 대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시점이 왔다. 그렇다면 카카오는 앞으로 얼마나 더 저렴해지고, 이후에는 얼마나 비싸질까? 이에 대해 기술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겠다.
차트 분석
위는 카카오의 주봉 차트이다. 한눈에 보더라도 급상승 이후 급하락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현재 고점 대비 73% 하락하였으며, 약간의 반등이 있는 모습이다.
카카오를 아래의 두 가지 관점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 로그 차트를 통한 사이클 파악
- 엘리어트 파동 이론
로그 차트를 통한 사이클 파악
위는 카카오의 주봉 로그차트이다. 로그 차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과매수가 발생하면, 추세를 파악하는 데 있어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위와 같이 약 2900일을 기준으로 하나의 사이클이 형성된다. 앞서 세 번의 사이클이 형성되었고, 현재 네 번째 사이클이 진행 중이다.
카카오의 사이클 주기가 2900일이라는 것을 알았으니, 그에 맞게 세팅해 보았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인 사이클의 종료 시점은 2024년 10월이 될 것이다.
사이클 종료 시점에 대한 또 한 가지 단서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추세이다. 2008년 11월에 시작된 사이클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추세선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해당 추세선을 기준으로 상당히 중요한 저점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인 사이클의 저점 역시 해당 추세선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해당 추세선 부근에서 저점이 형성될 경우, 현재 가격 대비 최대 하락폭은 -28%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1년간 꾸준히 카카오를 매수한다면, 최대 -28%가 하락하더라도 적절한 평단가가 맞춰질 것이고, 이후로는 기다리면 된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통한 파동 계산을 위해 로그 차트에서 기본 차트로 돌아왔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역시 로그 차트로 활용하는 것이 좋지만, 앞서 사이클과 추세를 파악했으므로, 편의상 기본 차트를 활용하겠다.
우선 가장 큰 파동 계산은 위와 같이 진행하였다. 해당 파동은 충격 파동이 아닌 조정 파동의 형태로 보인다. 따라서 하나의 큰 사이클이 끝이 났고, 현재는 큰 사이클에 대한 조정 파동이 진행 중이다. 급격하게 하락한 이유는 아주 큰 파동에 대한 조정 파동이기 때문이다.
B파동에 대한 파동 계산이 어려울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다.
B파가 다시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B파의 각 파동 역시 3개의 파동으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그중 마지막 파동인 c파의 경우, :3-:3-:5의 형태를 띄고있다.(:3은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5는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c파동은 불규칙 강세 조정임과 동시에, c파의 c파가 강세 삼각수렴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전체 B파가 강세 조정이 되었다. 강세 조정의 특징은, 강세 조정 다음에 나오는 파동은 이전 파동의 최소 1.618배 이상 상승한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C파는 A파 대비 2.618배에 가까운 상승이 나왔다.
이후 조정 파동이 진행됨에 따라 0.786 되돌림 구간 근처까지 주가가 하락하였다.
해당 0.786 되돌림 구간에는 주요한 지지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해당 구간에서 3번의 중요한 저항이 이루어져, 변곡점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현재 가격 대비 해당 지지 구간까지의 하락폭은 약 -29%이다.
이는 앞서 로그 차트를 통한 사이클 파악에서 언급한 -28%의 하락폭과 비슷하다.
그렇다면 과연 다음 사이클은 어느 가격까지 갈 것인지를 알아보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진행중인 조정 파동을 분석해야 한다.
우선 가장 확실한 것을 먼저 계산해 보았다. 따라서 위와 같이 :3의 형태의 조정 파동이 2개가 나왔는데, 그 사이가 끊겨있다. 이렇듯 사이에 있는 파동은 x파동으로써 파동과 파동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당 파동들을 통하여 WXY 이중 조정이 나왔고, W와 Y의 비율은 정확히 1:1이다.
WXY 이중 조정이 나왔으나, 다시 하락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고려할 수 있는 패턴은 한 가지 뿐이다.
그 한 가지는 위와 같이 WXYXZ 삼중 조정 패턴이다. 보통 Z파에서는 엔딩 다이아고날이나 삼각형 패턴이 자주 출현한다. 아직까지 엔딩 다이아고날이나 삼각형 패턴이 나타날지, 아니면 단순한 조정 파동 패턴으로 나타날지는 알 수 없다. 만약 조정 파동 패턴으로 나올 경우 현시점으로부터 빠른 기간 안에 조정 파동이 끝이 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 해당 사이클은 2024년 10월에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약 1년간 해당 조정 파동이 지속되어야 하는데, 조정 파동이 나올 경우 사이클 주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단순 조정 파동보다는 엔딩 다이아고날이나 삼각형 패턴이 나타남으로써 지루한 횡보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만약 삼각형 패턴이 나올 경우, 해당 패턴이 진행된 기간에 따라 분출될 때의 세기 또한 달라진다. 또한 만약 삼각형 패턴의 꼭짓점이 위로 솟은 형태가 될 경우, 이는 강세 삼각형 패턴으로써 이전 파동의 최소 1.618배로 상승하게 된다.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이전 사이클의 1:1 비율로 상승하며, 그럴 경우 211,500원이 된다. 이는 현재 가격 대비 약 300%이다. 1:1.618 비율로 상승할 경우, 319,000원이 되며, 현재 가격 대비 약 500%이다.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분석 #삼성전자보통주-2 (1) | 2024.11.26 |
---|---|
주식 분석 #덕성 새로운 시작 (0) | 2023.08.14 |
주식 분석 #CJENM 어닝쇼크? 다시는 없을 기회 (1) | 2023.08.11 |
주식 분석 #삼성전자보통주 21만 전자 달성 가능성 (0)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