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기초 #2 엘리어트 파동 이론, 피보나치 되돌림 본문

트레이딩 기초

트레이딩 기초 #2 엘리어트 파동 이론, 피보나치 되돌림

SimonGong 2022. 7. 3. 19:35

엘리어트 파동 이론:

자연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움직이며, 이는 자연의 일부분인 인간에게도 적용된다. 즉, 인간의 행동이나 심리에도 적용이 되며, 이를 계량화하면 미래의 인간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자연의 패턴을 계량화한 피보나치 수열에 기초한다.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수열은 앞의 첫 번째 숫자를 제외하고, 앞 두 숫자를 더한 값을 순차적으로 갖는 숫자의 배열을 의미한다.

1, 1, 2, 3, 5, 8, 13, 21, 34, 55, 89, 114....

 

엘리어트 파동의 구조:

엘리어트 파동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승 5파와 하강 3파 총 8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언급했던 피보나치 수열의 3, 5, 8을 발견할 수 있다.

시장의 추세를 따라가는 파동을 충격파, 역추세를 조정파라고 부른다.

 

각 파동은 다시 하위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충격파는 5개의 하위 파동으로, 조정파는 3개의 하위 파동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파동의 길이(등락폭)은 일정한 비율로 움직이며, 이는 피보나치 비율에 기초한다.

 

엘리어트 파동의 규칙:

  1.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밑으로는 내려가지 못한다.
  2. 3번 파동이 제일 짧을 수는 없다.
  3. 4번 파동과 1번 파동은 서로 겹칠 수 없다. (예외-삼각 쐐기형에서는 4번 파동이 1번 파동의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피보나치 비율:

한 숫자를 기준으로 할 때, 뒤에 있는 숫자는 바로 앞 숫자의 1.618배가 되고 한 칸 건너 뒤에 있는 숫자는 2.618배가 된다. 반면 바로 앞 숫자는 0.618배이며, 한 칸 건너서 앞에 있는 숫자는 0.382배이다. 실제 트레이딩에서는 피보나치 비율을 피보나치 되돌림이라는 기술적 분석 도구로써 많이 활용된다.

 

피보나치 되돌림:

피보나치 되돌림은 하나의 충격파동이 출현을 했을 때 그에 따른 조정파동이 얼만큼 되돌림을 주는지 확인하는 기법이다. 피보나치 수열과 관련된 특정한 비율들을 기준으로 충격파동을 나눴을 때 일정한 가격의 움직임으로 지지와 저항이 나오게 된다. 흔히 쓰는 피보나치 되돌림 기본값은 23.6%, 38.2%, 50%, 61.8%, 그리고 78.6% 이다.

 

활용 예시:

KOSPI, 1주, (2003 ~ 2009)

엘리엇 파동을 활용하여 상승 5파와 하락 3파를 다음과 같이 그리고, 피보나치 확장을 상승추세의 하단점과 끝점으로 그어 하락파의 지지 저항 구간을 확인해 보았다. 신기할 정도로 0.382와 0.786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깔끔하게 하락 3파 이후 다시 상승파로 전환되는 모습이 보여진다.

 

이번에는 0.618 구간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하는 모습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