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매매 복기
- 엘리어트 파동
- 피보나치 되돌림
- 다이버전스
- 엘리엇 파동 이론
- 차트분석
- 차트
- 엘리엇 파동
- 비트코인
- 채널 매매
- 해외 투자
- 지지 저항
- 선물투자
- 매물대
- 헤드 앤 숄더
- 선물 매매
- 차트 분석
- 이동평균선
- 투자
- RSI지표
- 해외투자
- 선물 옵션
- 코인
- 거래량
- 선물 투자
- 삼각수렴
- 선물
- 트레이딩
- 매매 전략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102 본문
매매 복기
두 번에 걸쳐 롱 매수를 하였고 그 절반을 수익화하여 약 24%의 수익을 얻었다. 절반을 정리한 이유는 하나의 충격 파동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물론 기다리면 더 오르겠지만, 경험상 한 번에 수익화 하는 것보다 수익이 줄어들더라도 적절한 구간에서 정리하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절반 물량은 유지 중이다.
도지코인으로 단타 매매를 시도해봤다. 단타는 사실 승률과 수익률이 좋지 않아서 지양했는데, 변동성이 좋아서 아주 적은 비중으로 시도해보았다. 롱 포지션으로 수익, 숏 포지션으로 손실이 되었다. 단타 매매를 하더라도 가급적 역 추세인 숏 포지션은 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시 한 번 되세기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수익으로 마무리 되었지만, 현재의 매매 스타일로 단타 매매를 하기에는 가성비가 좋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타 매매는 그에 걸맞는 매매법이 마련되어야 되는데, 그렇지 않으므로 지양해야겠다.
차트 분석
충격 파동이 형성 된 후 두 개의 조정 파동이 나타났다. 이로써 첫 번째 파동이 A파, 두 번째 파동이 B파가 되고, C파가 충격 파동의 형태로 진행되어 앞서 나타난 충격 파동의 조정을 마무리 할 것으로 보인다.
b파의 크기가 a파의 1.382배가 되지 않기 때문에 C파는 b파를 완전히 되돌릴 수 있다. 완전히 되돌린 다면 단순 불규칙 파동으로 마감될 것이고, 넘어서지 못한다면 강세 조정이 되는 것이다.
강세 조정이 될 경우 강한 상승이 다시 이루어질 것이다.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74.7K에 위치한 저항(노란색) 구간이다. 해당 구간은 충격 파동 3파의 종점 부근에 형성된 매물대의 상단이다. 최대 하락 지점은 충격 파동의 POC(빨간색 짧은 선) 지점인 74.4K이다.
물론 나의 계산이 틀릴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 도달하지 않고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해야 한다.
매매 전략
현재 상태
포지션: 롱
평균진입가격: $68,895.2
스탑 로스: $69,000
매수 전략
a파 시점 상방 돌파 시 추가 매수
비중: 30%(예치금의 30%, 매수 체결 시 총 자금의 50%)
예상평단가: $73,500
예상 스탑로스: $73,000 (약 -3.25%)
매도가: $81,500 (포지션 절반 매도)
만약 대기 중인 매수 구간 근처에 도달하지 않고 상방 돌파 시 매수 X (엔딩 다이아고날의 가능성 염두)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104 (2) | 2024.11.11 |
---|---|
트레이딩 일지 #103 (3) | 2024.11.09 |
트레이딩 일지 #101 (4) | 2024.11.06 |
트레이딩 일지 #100 (0) | 2024.11.04 |
트레이딩 일지 #99 (0)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