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해외 투자
- 매물대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차트
- 피보나치 되돌림
- 다이버전스
- 매매 전략
- 선물
- 코인
- 해외투자
- 투자
- 엘리엇 파동 이론
- 이동평균선
- 선물 매매
- 헤드 앤 숄더
- 엘리어트 파동
- 매매 복기
- 선물 투자
- 트레이딩
- 지지 저항
- RSI지표
- 차트분석
- 엘리엇 파동
- 삼각수렴
- 선물투자
- 차트 분석
- 선물 옵션
- 채널 매매
- 거래량
- 비트코인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76 본문
매매 복기
지난 포스팅 이후 총 세 번의 거래를 하였고, 한 번의 손실과 두 번의 수익을 얻었다.
첫 번째 거래에서 아쉬운 점은 섣부른 점이다.
섣부르게 매수하여 평단가가 높아졌고, 섣부르게 매도하여 더 많은 수익을 놓쳤다.
첫 번째매수는 하락 파동이 끝났다고 판단하고 진행했기에 나쁘지 않았다. 다만, 파동 계산을 하면서 애매하다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한 턴만 더 기다린 후 파동이 완전해졌을 때 진입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첫 번째 매도는 분명히 고쳐야 할 점이다. 앞서 상승 터미널 패턴이 나오고 그에 대한 조정이 삼각수렴 패턴으로 확실해졌다. 따라서 매수세가 강하기 때문에 상단에 위치한 저항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뿐만 아니라, 해당 매도 구간은 앞서 진행된 하락 파동의 38.2% 구간이다. 앞서 진행된 하락파동이 강세의 형태를 띄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최소한 50% 이상은 되돌릴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부 청산한 이유는 분석 오류로 인한 수익 감소가 두려웠고, 맞더라도 하단에서 다시 롱 포지션으로 매수하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하는 조정이 나오지 않아서 롱 포지션을 매수하지 못했고, 수익을 극대화하지 못했다.
아쉬움은 있지만 그래도 수익을 실현했으니 잘한 것 같다.
세 번째 거래도 마찬가지로 아쉬움이 남았다. 이전 포스팅에서 분할 진입으로 청산이 될 때까지 기다리기로 했는데, 그러질 못했다. 대체로 나의 거래는, 기다리면 수익으로 전환이 되는 경우가 90%인데, 그러질 못해서 손해가 난다. 이번 거래 역시 기다렸으면 수익이 됬을 것이다.
차트 분석
이전 분석에는 한 가지 오류가 있다.
미달형 조정 파동(A파) 이후에 진행된 B파는 A파 대비 3.618배 이상 되돌림이 되었다. 그 후 진행된 하락 파동으로 인하여 B파가 완전히 되돌려졌는데, 이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원칙에 위배되는 일이다. 원칙상 B파가 A파의 1.618배 이상 되돌렸을 경우, C파는 B파를 완전히 되돌릴 수 없다.
따라서 여기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은 두 가지이다.
- 파동 계산이 틀림
- C파가 아직 끝나지 않음
파동 계산이 틀렸다는 전제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다시 계산을 해보으나, 뚜렷한 패턴을 찾지 못했다.
그러다가 문득 든 생각은 C파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만약 C파가 삼각수렴이 되어 그 종점이 앞서 진행된 A파의 종점보다 위에서 끝나게 된다면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이 아이디어를 가지고 이후에 진행된 파동을 계산해본 결과, 충동 파동이 나왔다. 충동 파동이 나온 경우 고려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두 가지이다.
- 더 큰 충동 파동
- :5-:3:-:5 지그재그
해당 충동 파동이 더 큰 충동 파동의 제1 파동이 될 수는 없다. 앞서 진행된 C파가 충동 파동의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반대 방향의 충동 파동이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5-:3:-:5 지그재그 패턴이 형성되어 C파에 대한 상승 조정이 되는 것이다. 그럴 경우, 앞서 생각했던 삼각수렴의 아이디어와 연관이 된다. 따라서 이 파동 계산을 통해 삼각 수렴에 대한 확률이 높아졌다.
삼각 수렴 아이디어로 파동이 진행될 경우, 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파동의 계산 결과는 위와 같다.
충동 파동이 두 번 나왔고, 뒤에 진행된 충동 파동이 앞서 진행된 충동 파동 보다 한 차원 낮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뒤에 진행된 충동 파동의 조정 파동은 복합 조정의 형태로, B파가 삼각수렴의 형태로 나타났다. 해당 충동 파동이 앞서 진행된 파동 대비 한 차원 낮음으로, 해당 파동은 더 큰 충동 파동의 제 1파동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봤을 때, :5-:3-:5 지그재그 패턴의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진행될 충동 파동은 주요 저항대가 있는 48K 구간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앞선 파동의 1 : 1.13 ~ 1.272 비율이다.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78 (0) | 2024.08.14 |
---|---|
트레이딩 일지 #77 리스크 및 매매 전략 고찰 (2) | 2024.02.13 |
트레이딩 일지 #75 (1) | 2024.01.26 |
트레이딩 일지 #74 (4) | 2023.12.08 |
트레이딩 일지 #73 (2) | 202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