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122 본문

트레이딩 일지

트레이딩 일지 #122

SimonGong 2025. 2. 22. 12:11

매매 복기

ETHUSDT Binance 15m. 2025-02-22 10:52

4일간 세 번의 거래를 진행하여 모두 수익을 올렸다. 매매2의 경우 상당히 위험한 수준까지 갔는데, 운이 좋게도 익절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 이 시기가 횡보장이어서 망정이지, 50%의 시드가 날아갈 뻔 했다. 리스크 관리법을 다듬을 필요성을 느끼게하는 매매였다.

 

이더리움의 모든 매매 근거는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세웠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요즘 비트코인이 비트코인과 커플링 되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매매1의 롱포지션은 비트코인 차트에서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이 형성되었다고 판단하였고, 그에 따라 해당 패턴이 완전히 되돌려져야 한다는 전제 하에 진입하였다.

엔딩 다이아고날이 끝이난 후 상승 ABC 3파의 형태로 반등이 나왔으나, 이후 3파 조정이 진행되었다. 완전히 되돌려야한다는 전제가 있었으므로 1:1 비율 지점에서 이더리움 롱 포지션에 진입했다. 앞서 3파로 상승 반등이 나왔으므로, 정석대로라면 충격파동이 진행되어 3-3-5 플랫 패턴이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롱 포지션에 진입한 이후의 파동이 충격 파동의 형태로 보이지 않아 불안했는데, 마침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대비 10배 상승하여 전량 익절하였다.

이후 숏 포지션 진입은 참았는데, 비트코인의 방향성을 잃었기 때문이다. 우선 엔딩 다이아고날로 보이는 패턴이 나타났다고 판단은 했지만 해당 패턴이 앞서 진행된 파동들과 연결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엔딩 다이아고날은 빠른 시간 내로 완전히 되돌려져야 하는데, 시간만 흐를뿐 그러질 못했기에, 어쩌면 해당 패턴이 엔딩 다이아고날이 아닐 수도 있겠다라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그래서 방향성에 확신이 없을 때 거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운이 좋게 수익을 올리더라도 결국 다 뱉어내게 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에 관망을 선택했다.

 

매매2는 비트코인이 이전 저점을 돌파하고 1시간 봉 기준 오더블럭에서 충격파동의 형태로 반등이 이루어진 것을 보고 진입하였다.

 

충격 파동이 나왔으므로 위처럼 3-3-5 플랫 패턴이 진행될 것이라는 전제 하에 롱 포지션에 진입한 것이다.

사실 B파라 예상되는 파동이 해석되지는 않았기에 진입 근거가 다소 빈약했다. 그래서 포지션에 진입하는 내내 불안한 마음이 가시지를 않았다. 결국 원하는 움직임이 나오질 않았고, 한 번의 추가 매수로 물타기를 했다.

 

다음 날 출근해야 하는데 늦게까지 모니터링을 하다가 피곤해서 '어떻게든 되겠지'라 생각하고 그냥 잤다. 아침에 일어나보니 평단가 기준 약 3.5% 가량의 추가 하락이 진행된 후 반등한 것을 확인했다. 20배 배율을 쓰고있었으므로 거의 -70%까지 진행된 것이다. 전체 시드의 50%가 들어가 있었으므로 전체로 보면 -35%의 손해지만, 만약 더 하락해서 청산이 되었다면 복구를 위해 100%의 수익을 올려야한다. 난이도가 매우 어려워지는 것이다. 다행이도 반등이 되어 오픈 중인 포지션의 절반을 약손절로 탈출했지만, 식겁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이후 비트코인의 파동을 해석할 수 있게 되어 숏 헷징 거래 후 약손절, 롱 포지션 전량 익절, 숏 포지션 진입까지 진행했다.


차트 분석

이중 복합 조정(W-X-Y)이 진행되고 그에 대한 조정이 확장형 삼각수렴의 형태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삼각수렴의 종료 지점은 이중 복합 조정의 피보나치 0.618 지점임과 동시에 15분봉 FVG와 삼각수렴 상단선이 위치해있는 자리이다. 주요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여 삼각수렴이 확정되었고, 그에 따라 강한 하락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얘기했듯 해당 삼각수렴은 하락 파동(이중 복합 조정)에 대한 상승 조정이므로, Y파의 종점과 삼각수렴의 하단선을 하방 돌파해야 한다.

 

이 단서를 통해 앞서 진행된 이중 복합 불규칙 조정(노란색)의 종점을 하방 돌파하는 시나리오의 신뢰도가 올라갔다. 이걸로 90K가 깨질 것이라는 전제를 얻기는 했지만, 현재 진행되는 파동이 앞선 이중 복합 불규칙 조정(노란색)과 연결지어 해석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현재로써는 정확히 어디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

 

다만 90K가 깨지게 되면 총 9번의 지지를 받은 지지 구간 역시 깨질 수 있게 된다. 그럴 경우 패닉셀로 인해 급격한 하락이 진행되어, 어쩌면 1D FVG가 위치해있는 78~80K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장은 해석이 되지 않으므로, 가급적 한 번에 수익을 올리는 전략을 펼치기 보다, 아는 선에서 적절히 매매하고자 한다.


매매 전략

BTC

 

거래 종목: 이더리움

현재 포지션: 숏, 롱

배율: 20

 

숏 포지션

평균체결가: 2,795.32

비중: 20.56%

목표가: 비트코인 $91,800 도달 시 절반 익절

추가 오픈: 비트코인 $97,700

 

롱 포지션

평균체결가: 2,638.32

비중: 19.76%

목표가: 비트코인 $97,100(직전 하락파동의 0.5 되돌림, 4시간 봉 FVG) 도달 시의 이더리움 가격(미도달 시 본절)

728x90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123  (0) 2025.03.09
트레이딩 일지 #121  (0) 2025.02.17
트레이딩 일지 #120  (0) 2025.01.09
트레이딩 일지 #119  (0) 2024.12.30
트레이딩 일지 #118  (2)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