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투자
- 매매 복기
- 코인
- 엘리엇 파동 이론
- 차트
- 엘리엇 파동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헤드 앤 숄더
- RSI지표
- 트레이딩
- 지지 저항
- 삼각수렴
- 선물 옵션
- 매물대
- 선물 투자
- 피보나치 되돌림
- 선물 매매
- 다이버전스
- 선물투자
- 이동평균선
- 차트 분석
- 해외투자
- 엘리어트 파동
- 거래량
- 해외 투자
- 선물
- 비트코인
- 매매 전략
- 차트분석
- 채널 매매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55 작은 목표부터 확실하게 본문
큰 목표를 한 번에 달성하고자 할 경우 실패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목표 대비 성장치가 낮다고 생각되어 심적으로 더욱 힘들어지게 되는 것 같다. 따라서 큰 목표를 세분화하여 작은 목표부터 차례대로 달성하고, 이를 통해 실력과 자신감을 조금씩 높여가야겠다.
매매 복기
6일간 총 6번의 거래를 진행하였다.
가장 좋은 자리는 첫 번째 숏 자리였다.
해당 진입에 대한 근거는 아래의 포스팅에서 볼 수 있다.
트레이딩 일지 #54
매매 복기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한 대로, 상승 추세가 한 번 더 남았다고 판단하여 롱 포지션에 진입하였다. 진입 근거는 ABC 하락이 1:1 비율로 나왔고, 이후 삼각수렴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했기
coinmon.tistory.com
운이 좋게도 분석이 틀렸음에도 불구하고 방향은 맞아 수익을 낼 수 있었다.
앞선 분석에서는 5파 절단이 나왔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5파 절단 이후에는 해당 임펄스 파동을 형성한 시간보다 짧은 시간 안에 완전히 되돌려야 한다.
해당 임펄스를 형성하는 시간은 약 2날 14시간이고, 이후 훨씬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되돌리지 않은 모습이다. 따라서 나의 파동 계산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숏에 진입한 자리가 5파 절단이 아니라면, 전 고점 부근에서 하나의 임펄스가 마감했다는 의미이다. 그리하여 해당 전 고점 부근을 제5파동이라고 판단하고 역으로 계산해 본 결과, 그 임펄스 파동은 다음과 같다.
4파가 ABC 형태로 나왔으며, C파가 삼각수렴인 복합 조정이 나왔다. 삼각수렴으로 인해 제5파동이 강하게 올라갔다. 또한 앞선 포스팅에서 강세 조정이 나왔다고 했다. 보통 강세 조정이 나올 경우, 강세 조정 이후의 충격 파동은 이전의 충격 파동의 161.8% 수준이 된다.
비율을 측정해 보면 완벽히 1.618배는 아니지만, 거의 근접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두 충격 파동이 강세 조정 파동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임펄스가 끝났는지, 그렇지 않은 지로 나뉜다.
만약 끝났다는 시나리오로 카운팅을 했을 경우, 다음과 같다.
엘리엇 파동 이론에 따르면 하나의 충격 파동이 끝났을 경우, 해당 충격 파동의 제5파동은 형성된 시간보다 적은 시간 안에 완전히 되돌려져야 한다. 그러나 훨씬 많은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제5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않았으므로, 해당 시나리오는 폐기한다.
다음 시나리오는 충격 파동이 끝나지 않은 경우이고, 파동 계산은 다음과 같다.
현재 충격 파동의 제4파동이 끝이 났고, 5파동이 시작하는 중이다.
이 경우, 이전 시나리오에서의 제1파동이라 생각했던 파동의 계산이 애매해진다. 이에 대해 고민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 고점 이후 3-3-3 ABC 조정이 나왔고, C파동은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 파동은 강세 삼각수렴 패턴이다. 강세 삼각수렴이 끝이 남에 따라, 그 즉시 강하게 상방 돌파하였다.
이로써 모든 파동이 힘의 원리에 따라 연결되었다.
차트 분석
4파가 복합 조정으로 나왔고, B파의 고점을 넘기면서 조정 파동의 마감이 확실해졌다. 또한 제4파동이 제2파동에 비해 복잡성과 되돌림 비율이 높음에 따라, 제5파동이 연장 파동으로 출현할 확률이 높아졌다.(엘리엇 파동 이론에서 뜻하는 연장 파동은 단순하게 가장 긴 파동을 의미한다.)
제5파동이 연장 파동일 경우, 제1파동과 제3파동이 합쳐진 길이보다 100% 이상, 261.8% 이하의 길이가 된다. 따라서 파동 계산이 정확하다면, 이번 추세는 최소한 35.4K까지는 가야 한다.
또한 제4파동의 C파의 C파가 불규칙 삼각수렴이다. 불규칙 삼각수렴은 b 파동이 a 파동의 시작점을 넘어선 패턴으로, 일반적인 삼각수렴에 비해 강한 힘을 응축하고 있다는 의미다. (힘의 크기: 강세 삼각형 > 불규칙 삼각형 > 수평형 삼각형) 이러한 형태에서 분출은 삼각수렴의 가장 긴 내부 파동의 161.8% 수준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1차 목표가는 161.8% 수준인 32270이다.
매매 전략
현재 포지션: 롱
진입가: 30378.8
손절가: 30280
목표가: 32270
아시아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MEXC Global
📍 전세계 최저 수수료
📍 Best Crypto Exchange Asia 수상
📍 수준 높은 안전성 및 안정성
📍 우량 거래소 랭킹 10위권
📍 한국어 지원
아래의 추천인 코드로 가입하시어 수익을 극대화해보세요!
추천인 코드: mexc-1aEAo
가입 링크: https://www.mexc.com/ko-KR/register?inviteCode=mexc-1aEAo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57 (0) | 2023.07.06 |
---|---|
트레이딩 일지 #56 (1) | 2023.07.04 |
트레이딩 일지 #54 (0) | 2023.06.26 |
트레이딩 일지 #53 항상 감사한 마음 가지기 (1) | 2023.06.22 |
트레이딩 일지 #51 (2) | 202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