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61 비트코인 매매 전략 본문

트레이딩 일지

트레이딩 일지 #61 비트코인 매매 전략

SimonGong 2023. 7. 19. 17:40

유튜브에서 좋은 말을 들었다. 그 말은 주변 사람이 곧 나라는 말이었다. 이 말은 누구나 알고 있고 많이 들은 내용일 것이다. 당연히 현재 내가 갖고 있는 생각과 마음가짐이 비슷한 사람에게 끌리기 마련이다. 왜냐하면 그래야 말이 잘 통하고 재밌고 마음이 편안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보다 수준 높은 사람들의 주변에 있으면 불편해진다. 따라서 그들과 대화를 나누게 되거나 마음이 편해지기 위해서는 발전해야 하고, 확실한 목표가 생기니 보다 수월하게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를 행하기란 정말 어렵다. 주변 사람들과의 연락을 모두 끊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나보다 수준 높은 사람을 만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물론 노력하면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너무 많다. 따라서 그 유튜버는 책을 읽는 것을 추천했다. 현실의 내 주변 사람을 바꾸는 것은 무척이나 어렵지만, 책은 쉽게 접할 수 있다. 책은 한 사람이 자신의 모든 철학과 신념을 바탕으로 일구어낸, 그 사람의 영혼이다. 따라서 책을 많이 읽은 만큼 수준 높은 영혼을 많이 접하는 것이므로, 자연스레 발전하게 된다.


매매 복기

BTCUSDT.P 15m. 2023.07.19. 16:10

ABC로 하락하고 상승 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롱 포지션으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ABC가 아닌 충격 파동으로 나타났다. 손절라인을 추세선 밑에 걸어두었는데, 아쉽게 정확히 손절라인에 닿아버려서 -50%의 손해가 발생했다. 시드는 $226에서 $113이 되었다. 이후 충격 파동이 끝났다고 판단하여 롱 포지션에 진입하였다.

 

근 한 달간 수익이 발생한 구간을 보면, 정말 좋은 자리에서 진입을 하였다. 그러나 나의 시드는 쌓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그 좋은 자리를 잡기 전에 잃기 때문이다. 좋은 자리는 항상 파동의 끝에서 발생한다. 나는 이번 횡보장에서 롱 포지션만 진입하였고, 파동의 끝은 모두 잡았다. 또한 파동의 중간에서도 진입했다. 물론 수익이 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결국 수익보다 더 큰 손해가 발생되었다.

물론 모든 거래에는 근거가 뒷받침되었다. 그 근거는 하나의 파동이 끝나는 자리이다. 아래는 나의 매매 방식에 대한 예시이다.

위와 같이 하락 추세가 3개의 파동으로 진행되었다고 치자.

ABC가 1:1 비율로 나왔으므로 롱으로 진입한다. 이후 상황을 보고 1.13 아래로 과하게 떨어지면 손절을 한다. 여기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ABC 파동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3-:3-:5 플랫
  2. :5-:3-:5 지그재그

ABC가 1:1 비율로 나왔을 경우 플랫 파동일 가능성이 충분히 있지만, 지그재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지그재그였을 경우, 다음과 같이 된다.

위와 같이 :3이 아니라 :5로 진행되어 C파가 제3파였던 것이다. 그에 따라 손절을 하게 되고, 상황에 따라 손절 구간이 매우 커질 때도 있다.

그렇다면 첫 번째 파동이 :5로 충격 파동의 형태로 나왔다면 진입해도 좋을까? 나는 이 구간은 진입해도 좋다고 본다. 왜냐하면 충격 파동이 모두 나왔다는 것은 단기적으로라도 반드시 추세 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충격 파동이 아닌 복합 조정이 되는 경우이다.

충격 파동의 제3파까지의 파동이 알고보니 ABC 였고, 제4파는 x파동, 이후 다시 ABC가 진행되는 경우이다.

물론 자주 출몰하는 패턴은 아니지만, 항상 조심해야 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첫 번째 파동이 끝났다고 판단하고 진입하는 것은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나마 충격 파동이 끝났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괜찮지만, ABC 파동이 끝난 이후에 진입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렇다면 두 번째 파동이 끝나고 진입하는 것은 어떨까.

위와 같이 ABC 하락 이후 ABC 상승으로 판단된다면? 해당 진입은 상당한 난이도가 있다. 그 이유는, :3-:3이 나왔으면 :5가 나와야 하는 것이 맞지만, 해당 상승 조정이 어디서 끝나는지를 잘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조정에는 위와 같이 4개로 구성된다. 만약 일반 조정의 형태라 판단하고 B파의 종료 지점에서 진입했으나, 불규칙 조정이나 강세 조정일 경우 상당히 위험해질 수도 있다. 물론 이후의 방향은 맞으므로 버티면 되지만, 때에 따라 청산이 발생될 수 있는 포지션이다. 따라서 해당 구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지지/저항이나 RSI 다이버전스와 같은 추가적인 기술적 요소들을 같이 활용해야 한다.

 

가장 좋은 자리는 3개의 파동이 모두 나왔을 때 진입하는 것이다. 파동의 끝은 항상 :5의 형태로 나타난다. :5는 충격 파동일 수도 있고, 삼각형 패턴일 수도 있다. 물론 이 또한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해서는 안 되지만, 이런 자리에 진입하지 않는다면 돈을 벌 수 없을 것이다.

 

포지션 진입이 아닌, 포지션 정리 또한 위의 방법을 역으로 적용할 수 있다. ABC가 나왔다 판단하여 정리하기보다는, 충격 파동이 확실히 보일 때 정리하는 것이 확실할 것이다.


차트 분석

저점이 갱신됨에 따라 삼각형 패턴으로 보고 있던 관점은 폐기한다.

 

현재 진행된 파동은 충격 파동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앞서 충격 파동이 한차례 더 나왔다.

 

따라서 해당 파동들을 분리하여 파동 계산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삼중 조정이 보인다.

해당 삼중 조정은 (:3-:3-:5 -x- :3-:3-:5 -x- :5)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전히 상승 관점으로 보고 있지만 상승 추세를 하락 돌파함에 따라 하락에 대한 관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만약 해당 상승 추세를 상승 돌파하지 못하고 저점을 갱신할 경우, 하락 관점으로 전환한다.


매매 전략

현재 포지션: 롱

진입가: 29500

손절가: 29399.9 (Z파동 저점 갱신)

목표가: 충격 파동 확정 시 정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