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84 본문

트레이딩 일지

트레이딩 일지 #84

SimonGong 2024. 10. 2. 05:59

매매 복기

이전 분석을 통해 수립한 매매 전략을 바탕으로 노란 추세선을 하방 돌파한 이후 전량 매도하여 약 30%의 수익을 올렸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우선 절반을 정리한 후, 하락 추세가 확실해진 것을 확인하고 나머지를 정리하였다. 이후 혹시나 하는 마음에 시드의 25%를 매수하였는데, 역시나 하락하여 4%의 손해를 봤다. 현 상황에서 상승 추세가 확실해지기 위해서는 전 고점을 넘어야 하는데, 기다리지 못한 점이 아쉽다.


차트 분석

우선 노란 추세선은 지지에 실패했으므로 폐기한다.

이번 하락 파동을 통해 얻은 정보를 통해 기존의 관점을 수정하였다. 기존의 관점은 플랫 삼각수렴이 완성되고 상승 추세로 전환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아직 삼각수렴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고, 플랫 삼각수렴이 아닌 강세 삼각수렴의 형태를 띄고 있는 것으로 관점을 수정하였다.

기존의 관점에서는 삼각수렴이 끝났다 판단된 이후에 충격 두 차례의 충격 파동이 나타난 것으로 보였다. 이에 마지막 충격 파동을 완전히 되돌리지 않고 강한 상승 추세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러질 못하고 완전히 되돌려졌다. 따라서 이 두 개의 충격 파동을 합쳐서 하나의 파동으로 보는 것이 옳다.

여기서 :5-:3-:5의 :3 파동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해당 파동이 강세 조정이라고 생각했는데, 앞의 충격 파동과 뒤의 충격 파동의 비율이 0.618로 매우 작다. 강세 조정이 나오면 최소 1.618 이상의 비율이 나와야 한다.

따라서 해당 :3 파동과 뒤의 :5파동을 묶어 하나의 :3으로 만들었다. 뒤의 :5를 위와 같이 만든 이유는, 그 뒤에 나오는 파동이 터미널 충격 파동의 형태로, :5-:3-:5 지그재그 파동이 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하나의 :3-:3-:5 플랫 파동이 완성되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살펴보아야 할 점은, 이렇게 되면 :5-:3-:3의 형태가 된다. 이것은 엘리엇 파동 이론에 위배되는 것으로, :3-:3-:3의 형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의 :5를 다른 파동과 묶어 :3의 형태가 되야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앞의 :3-:3과 묶어 :3-:3-:5로 합치면, 하나의 :3이 되므로 적절해진다.

이렇게 될 경우, 기존의 D파라 판단했던 파동이 위와 같이 수정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삼각수렴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즉, 마지막의 :3의 종점 부분이 D파 종점이 된다.


매매 전략

주요 지지 구간인 59.5K를 기다리고 있다. 해당 구간은 삼각수렴 d파의 0.5 되돌림 구간임과 동시에, POC 구간이기도 하다. 따라서 59.5K에서 총 시드의 25%를 매수한다. 이후 상승 추세가 확실해지는 구간인 d파의 종점을 넘어선 가격대에서 25%를 추격 매수한다. 만일 삼각수렴의 a-c 라인을 하방 돌파할 경우, 매도한다.

 

요약

플랜A: $59,500 도달

매수: 삼각수렴 POC & d파의 0.5 되돌림 구간($59,500)

추격 매수: d파 종점 상방 돌파 시(≒ $65,600)

스탑 로스: 삼각수렴 a-c 라인 하방 이탈 시(≒ $54,800)

 

플랜B: $59,500 미도달

매수: d파 종점 상방 돌파 시(≒ $65,600)

스탑 로스: 돌파 실패 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