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거래량
- 삼각수렴
- 해외 투자
- 선물투자
- RSI지표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투자
- 피보나치 되돌림
- 선물 옵션
- 엘리엇 파동
- 차트
- 헤드 앤 숄더
- 차트분석
- 매물대
- 다이버전스
- 이동평균선
- 비트코인
- 채널 매매
- 선물 매매
- 매매 전략
- 엘리엇 파동 이론
- 선물 투자
- 엘리어트 파동
- 차트 분석
- 선물
- 해외투자
- 매매 복기
- 트레이딩
- 지지 저항
- 코인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86 트레이딩 고찰 본문
최근 들어 트레이딩 방법론에 관해 깨달은 바가 있다. 그동안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신뢰하며 기준으로 삼아 매매를 해 왔다. 물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시장의 패턴을 아주 세밀하게 다듬어 놓은 규칙이고, 이를 기준으로 삼은 것은 매우 잘한 판단이라 생각한다. 다만, 이제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이 만능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것은 어쩌면 트레이딩의 본질과 관련된 얘기일 수도 있겠다.
요즘 나의 매매를 보면 지지/저항, 추세선(채널), 비율을 바탕으로 추세 매매를 하고 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추세를 판단하는 보조 지표 정도로 사용할 뿐, 본질적인 매매 근거는 위의 세 가지이다. 따라서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매매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시장의 흐름을 기하학적으로 이해하고 직감적으로 느끼게 하기 위한 도구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이 이 만물의 이치를 이해하기 위해 물리학이라는 이론을 사용하듯, 시장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는 수단이 꼭 엘리어트 파동 이론일 필요는 없다. 또한 같은 이론을 사용하더라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달라진다. 마치 물리학에서 관점에 따른 파가 갈리는 것처럼 말이다.
이는 달리 말하면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사용하더라도 자기만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든 그것이 정답이고, 중요한 것은 본인의 기준이 얼마나 확고한 지이다.
매매 복기
이번 매매는 특별한 점 없이, 이전 분석에서 세운 매매 전략을 바탕으로 롱 포지션에 진입하였다. 아직까지 본격적인 상승 추세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총 시드의 25%만 진입하였다.
차트 분석
상승 관점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이 다음과 같이 형성된 이후 상승 채널 안에서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조정 파동의 형태로 채널이 형성되고 있는 중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채널 안의 상승 조정 파동에 대한 하락 조정이 강세 조정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여, 이후 강한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상승 관점이 확실해지는 시점은, 채널을 상방 돌파할 시이다.
하락 관점
이전에 진행된 하락 파동의 시점과 종점(노란색 원)을 기준으로 피보나치 비율 지표를 그어보면, 현재 채널 내부 파동의 고점이 0.618에 도달한 후 하락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상승 파동이 앞서 진행된 하락 파동에 대한 상승 조정의 가능성이 충분하기에 보수적으로 트레이딩 할 필요가 있다.
하락 관점은 확실해지는 시점은, 앞서 진행된 하락 파동의 종점을 하방 돌파 시이다.
차트 분석 수정 (24.10.08 13:50)
이전 하락 파동의 엔딩 다이아고날을 위와 같이 변경하였다. 사실 기존의 관점은 상승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 충격 파동이 e파 이후로 나오게 하기 위한 억지스러운 관점이었다. 이는 빠르게 수익을 올리고 싶은 심리가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심리를 파악하고 난 후, 다시 보니 충격 파동이 아닌 ABC 조정 패턴이 형성되었다고 바라 볼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상승 조정 파동은 위와 같이 b파가 삼각수렴의 형태로 진행되다. 채널 안에서 a:c의 비율이 1:1.272의 적절한 비율을 형성하고 있어 신뢰도가 높다.
상승 조정 파동의 종점이 이전에 형성된 하락 파동의 0.618 부근에서 되돌림이 되었고 채널을 하락 돌파하였으므로, 현재로써는 상승 관점을 보기가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상승 관점이 유지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확산형 리딩 다이아고날 패턴이 나타나야 한다. 이 리딩 다이아고날이 충격 파동의 1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매매 전략
여전히 상승 관점과 하락 관점 모두 보고 있다. 다만, 큰 관점으로 상승을 보고 있기 때문에, 숏 포지션에는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롱 포지션을 기준으로 각 관점에 대한 매매 전략을 세운다.
상승 관점
추격 매수: 직전 고점 돌파 시( ≒ $64,500)
하락 관점
스탑 로스: 이전 하락 파동의 종점 하방 이탈 시(≒ $60,750)
매매 전략 수정
상승 관점
추격 매수: 직전 고점 돌파 시( ≒ $64,500)
하락 관점
스탑 로스: 이전 하락 파동 C파 종점( ≒ $60,430)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88 (0) | 2024.10.11 |
---|---|
트레이딩 일지 #87 (2) | 2024.10.10 |
트레이딩 일지 #85 (0) | 2024.10.06 |
트레이딩 일지 #84 (2) | 2024.10.02 |
트레이딩 일지 #83 (3) | 202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