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피보나치 되돌림
- 해외 투자
- 엘리엇 파동
- 선물
- 엘리엇 파동 이론
- 다이버전스
- 채널 매매
- 이동평균선
- RSI지표
- 선물 옵션
- 비트코인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지지 저항
- 차트분석
- 삼각수렴
- 코인
- 거래량
- 투자
- 선물 투자
- 차트 분석
- 헤드 앤 숄더
- 매매 전략
- 선물투자
- 엘리어트 파동
- 차트
- 선물 매매
- 매물대
- 트레이딩
- 매매 복기
- 해외투자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87 본문
어제오늘, 나의 매매법에 관해 부쩍 드는 생각은 추세 추종 매매에서의 수익화 방법이다. 지금에 이르러서는 단기적인 시장 흐름을 인지하고 그에 맞는 매매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부족하게나마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잃지 않는 매매의 중요성을 여실히 체감했기에 수익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더욱 집중하며 매매를 하고 있다.
다만 지금의 매매법은 다소 수익을 내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제대로 된 추세에 올라타기 위해 시도를 하고 있는데, 한 번에 이루어지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과정 중의 대부분은 단기적인 방향이 맞아 충분히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황이 되지만, 매매법을 따름으로써 결국 손절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큰 추세에 올라탐으로써 결국 시드는 우상향하겠지만, 잘만 하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생각이 그저 욕심인 것인지 아니면 실력 향상을 위한 자연스러운 의문인 것인지는 모르겠다. 기회가 된다면 누군가 나에게 조언을 해주었으면 좋겠다.
매매 복기
이전 분석에서 수립한 전략과는 다르게 매도하였다. 스탑 로스 구간은 $60,750이었는데, 해당 구간에 도달하기 전에 방향성에 확신을 가지는 시그널을 포착했기 때문이다. 이 글을 쓰면서 든 생각은 확신을 가졌을 때가 가장 조심해야 하는 순간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리스크 관리가 목적이었기에 올바른 행동이라 생각한다.
트레이딩 일지 #86 트레이딩 고찰
최근 들어 트레이딩 방법론에 관해 깨달은 바가 있다. 그동안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신뢰하며 기준으로 삼아 매매를 해 왔다. 물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시장의 패턴을 아주 세밀하게 다듬어
coinmon.tistory.com
삼각수렴을 하방 돌파한 이후에 리테스트가 이루어졌고, 이후 재차 하락하는 것을 보고 매도세의 우위가 더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번 매매로 4%의 손실이 있었다. 이전에 32%의 수익 이후에 2.8%, 2.9%, 4%의 손실을 봄으로써 총 8.7%의 손실이 되었다. 이 중 두 번째 손실인 2.9%는 나의 매매 전략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었다. 이번 매매를 하면서 방향성이 조금 더 확실해질 수 있었다. 두 번째 손실이 없었다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정보를 얻었을 수 있었을 텐데 그러지 못한 점이 아쉽다.
차트 분석
현재 진행 중인 하락 파동이 직전 상승 파동의 시점을 넘어섬으로써 완전히 되돌렸다. 이로써 이전 분석에서의 확장형 리딩 다이아고날 시나리오는 폐기된다. 직전 상승 파동은 ABC 조정 파동이 확정되었고, 상승 조정이 끝이 났기에 추가 하락이 발생할 것이라 보고 있다. 이번 분석에서는 해당 추가 하락이 얼마나 이뤄지는지가 주요 관건이 되겠다.
강세 관점
현재로서 빠른 시일 내에 상승 추세가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확산형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통해 :3-:3-:5 플랫 패턴이 완성되고 본격적인 상승 추세가 나타나는 시나리오다. 목표 가격인 $59,500의 경우 이전 분석에서 기다리던 구간이다. 이 구간은 매물대, 충격 파동의 피보나치 0.786 되돌림, 충격 파동 2파의 종점이 겹치는 Conference 구간이다.
트레이딩 일지 #84
매매 복기이전 분석을 통해 수립한 매매 전략을 바탕으로 노란 추세선을 하방 돌파한 이후 전량 매도하여 약 30%의 수익을 올렸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우선 절반을 정리한 후, 하락 추세가
coinmon.tistory.com
단기 약세 관점
하락 파동과 상승 파동의 시점과 종점(노란색 원)을 추세 기반 피보나치 확장으로 이어보면, 위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느 것은, 1:1.13과 1:1.272 비율을 형성하는 가격대에 주요 지지 구간이 형성되어 있어, 해당 하락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지금까지는 위와 같은 파동 계산을 통해 하락 추세가 끝이 나고 새로운 상승 추세가 시작될 것이라 생각했다. 이후 충격 파동이 나타났다고 판단하여 강한 렐리가 이어나갈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으로 보았을 때, 충격 파동이라 판단되는 파동이 완전히 되돌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아래와 같은 경우의 수를 생각했다.
- 다이아고날의 c파 진행 중
- 큰 폭의 가격 하락
1. 다이아고날의 c파 진행 중
사실 이 관점은 상승 추세에 대한 근거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소 억지스러운 분석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피보나치 타임존을 통해 기간 비율을 측정해보면 일정한 기간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나리오의 다이아고날 패턴이 끝나는 시기는 11월 중순 쯤으로 예측된다.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으며, 해당 시나리오가 진행된다는 가정 하에 그렇다는 뜻이다)
2. 큰 폭의 가격 하락
WXYXZ 삼중 조정 파동과 충격 파동이 합쳐진 :3-:3-:5 플랫 패턴이 나오는 시나리오이다. 이 시나리오 역시 가능성이 낮으며, 만약 하단의 상승 추세를 하방 돌파한다면 고려할 예정이다.
매매 전략
여러 경우의 수에서 단기적인 하락 파동이 겹쳐져서 나타나고 있지만, 숏 포지션에 진입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충격 파동이나 엔딩 다이아고날, 삼각수렴과 같이 5개의 파동으로 이뤄진 패턴의 마지막 파동에 진입하는 것은 경험상 승률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마지막 파동을 욕심부리다가 이후에 나타날 큰 추세를 놓칠 수도 있다.
당연히 롱 포지션도 진입하지 않는다. 나의 매매법은 기본적으로 추세 추종에 기반하는데, 단기적으로 하락세가 우월하기에 롱 포지션은 역추세 매매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익비를 따져보았을 때, 지금 구간에서 매매를 하는 것보다 59.5K에서 롱 포지션에 진입하는 것이 좋다.
매매 기준 가격대
(매물대, 충격 파동의 피보나치 0.786, 충격 파동 2파 종점이 겹치는 Conference 구간) ≒ $59,300
상승 관점
매수: $59,500
추격 매수 1: 현재 진행 중인 하락 파동을 완전히 되돌릴 시(≒ $64,500)
추격 매수 2: 전체 하락 파동을 완전히 되돌릴 시(≒ $66,600)
하락 관점
스탑 로스: Conference 구간 하방 이탈 시(≒ $58,800)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89 (1) | 2024.10.14 |
---|---|
트레이딩 일지 #88 (1) | 2024.10.11 |
트레이딩 일지 #86 트레이딩 고찰 (1) | 2024.10.08 |
트레이딩 일지 #85 (0) | 2024.10.06 |
트레이딩 일지 #84 (2)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