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트레이딩
- 헤드 앤 숄더
- 선물투자
- 피보나치 되돌림
- 선물 옵션
- 엘리엇 파동
- 거래량
- 선물 매매
- 엘리어트 파동
- 엘리엇 파동 이론
- 선물
- 투자
- 비트코인
- 차트 분석
- 선물 투자
- RSI지표
- 채널 매매
- 이동평균선
- 다이버전스
- 해외투자
- 매매 전략
- 삼각수렴
- 매물대
- 해외 투자
- 지지 저항
- 차트
- 차트분석
- 코인
- 매매 복기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89 본문
차트 분석
이전 분석에서 언급한 롱 포지션을 유지 중이다. 진입 근거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삼각수렴을 상방 돌파한 후 충격 파동의 형태가 나타남
- 이후 3-3-5 플랫 패턴의 조정이 나타남
- 마지막 플랫 패턴의 마지막 5파동의 끝나는 지점에 주요 지지 구간이 형성되어 있음
이 근거들을 종합하여 매매를 하였고, 상승장으로 전환되었다는 판단 하에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
하락 조정 파동 이후에 진행된 상승 파동을 위와 같이 계산하였다. 앞서 충격 파동이 나타났기 때문에 조정 파동 이후 다시 충격 파동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위의 파동은 충격 파동이 아닌 확장형 리딩 다이아고날 패턴이다. 리딩 다이아고날은 더 큰 충격 파동의 1파가 될 수 있다. 특이한 점은 확장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확장형은 5파가 연장될 때 나타나는 특징인데, 상승 여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뒷심이 강하다). 이로 인해 조정 파동이 짧게 되돌려지고 재차 상승한는 것이 특징이다.
확장형 리딩 다이아고날에 대한 조정 파동이, 앞서 진행된 (a)-(b)-(c) 하락 조정 파동의 POC 지점에서 지지를 받았다. 또한 이 지점은 피보나치 0.236 구간이기도 하다. 따라서 불규칙 조정은 이렇게 마무리가 되고,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현재 다이아고날 5파 종점을 상방 돌파했으므로, 신뢰도가 더욱 올라갔다.
현재는 약 6개월간 진행된 조정 파동의 POC 구간에서 저항을 받았다. 이 구간을 상방 돌파하는 것이 상승 추세의 지속에 대한 1차 관문이다.
그 다음 관문은 상승 채널의 상단선과 정확히 69K에 형성된 이전 싸이클(코로나)의 최고점이다. 다만 앞서 언급했듯, 확장형 리딩 다이아고날이 나타났기에 3파와 5파가 합쳐진 크기는 최소 1파의 1.618배 이상일 것이다. 1.618배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이 두 저항 구간을 상방 돌파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승 파동의 형태를 예상해 볼 수 있고, 이 두 저항은 지지 구간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 시나리오가 진행되기까지 가장 큰 변수는 하락 추세선(하얀색 선)이다. 지금으로서는 이 추세선을 한 번에 돌파하기 보다, 조정을 받은 후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한 번에 상방 돌파할 수도 있지만, 나의 계산이 틀렸을 때를 가정하여 보수적으로 보는 것이 안전할 것이다.
매매 전략
위는 이전 분석에서 세운 매수 전략이다. 현재는 진행 상황에 맞게 변경되었다.
리딩 다이아고날의 종점을 넘어섬과 동시에 하락 채널을 상방 돌파하였으므로, 상승 추세가 더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리딩 다이아고날의 종점 부근에서 추격 매수를 진행하였다.
이후 하락 채널의 시작점에서 나머지 물량을 추격 매수 할 예정이다. 이 지점에서 추가 매수를 하는 이유는, 보수적으로 보았을 때, 5-3-5 지그재그 형태의 조정 파동이 나온다 하더라도1:1 비율 지점까지의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1 비율이 형성되는 지점에는 두 개의 추세가 맞닿는 지점이고, 그 이전에는 별 다른 저항 구간을 찾지 못했기에 도달 가능성이 높다.
나머지 물량의 추격 매수 이후의 예상 매도 지점까지 2.4%p의 추가 상승이 예상되는데, 현재 사용 중인 레버리지가 10배이므로 24%p가 된다. 따라서 충분한 추가 수익률을 기대해 볼 수 있으므로 리스크를 감안하고 추격 매수를 하는 것이다.
스탑 로스는 리딩 다이아고날 이후 진행된 조정 파동의 종점으로 옮긴다. 가격이 이 지점 밑으로 하락할 경우, 앞서 보수적으로 보고 있는 시나리오인 지그재그 패턴이 폐기되기 때문이다.
요약
1차 추격 매수: $63,420(25%, 매수 완료)
2차 추격 매수: $66,500 (50%)
매도: $68,000 (50%)
매매 전략 수정
2차 추격 매수를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진행 중인 상승 파동이 5-3-5 지그재그 패턴이었고, 이에 68K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 구간에서 하락했을 경우를 가정해보았다.
2차 추격 매수를 $66,500에서 할 경우 평단가는 64K가 되는데, 이는 지그재그 상승 파동의 0.382 구간이 된다. 파동 특성상 0.5나 0.618 구간까지 되돌릴 가능성이 있는데, 그럴 경우 스탑 로스로 인해 손절매가 된다. 손절매가 되면 추매를 하지 않는 것의 수익률이 더 크다.
추매를 통해 평단이 64K가 되고, 50% 매도를 했을 때의 예상 수익률은 31%이다. 추매를 하지 않고 50% 매도를 했을 때의 예상 수익률은 28%이다. 두 수익률의 차이는 겨우 3%p 밖에 안된다. 게다가 만약 추매 이후 0.618 구간까지 하락하게 된다면 -20%의 손해가 발생된다. 따라서 리스크 대비 수익률이 현저히 적으므로 추가 매수는 진행하지 않는다.
항상 최악의 상황을 상정하며, 이에 대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할 경우 일시적인 수익률은 적어지겠지만, 적게 잃고 꾸준히 수익을 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도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 매매를 하도록 노력해야겠다.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91 시황 정리 (1) | 2024.10.18 |
---|---|
트레이딩 일지 #90 (2) | 2024.10.16 |
트레이딩 일지 #88 (0) | 2024.10.11 |
트레이딩 일지 #87 (2) | 2024.10.10 |
트레이딩 일지 #86 트레이딩 고찰 (0)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