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91 시황 정리 본문

트레이딩 일지

트레이딩 일지 #91 시황 정리

SimonGong 2024. 10. 18. 10:13

차트 분석

BTCUSD 4h. 2024.10.18. 09:00

2024년 3월 14일부터 약 6개월간 지속된 조정 파동이 마감되고 상승 추세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 중이다. 다만 본격적인 렐리가 펼쳐지기 앞서 6개월간 저항의 역할을 한 추세선(흰색)을 상방 돌파해야 하는데, 현재 6번째 돌파를 시도 중이다. 해당 조정 파동은 2023년 9월 12일부터 시작된 상승 파동에 대한 것으로, 미달형 복합 조정의 형태로 나타났다.

 

WXY 중 마지막 파동인 Y파는 삼각수렴의 형태로 보이며, 이 종점이 W파 종점보다 위에서 마감됨으로써 미달형이 되었다. 미달형은 반대되는 힘이 강할때 나타나며, 지금의 경우 삼각수렴이라는 거대한 축적 패턴과 함께 나타남으로써 그 힘의 세기가 무척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조정 파동은 앞서 진행된 지그재그 상승 파동의 피보나치 0.236 되돌림 구간에서 마감되었다. 되돌림 비율이 아주 적고 기간을 오래 끈 것으로 보아, 상승을 위한 축적이 진행된 것 같다.

 

크게 보면 위와 같이 확장형 다이아고날의 형태로 진행될 것으로 추정 중이며, 이에 따라 마지막 파동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확장형 다이아고날의 특징은 파동의 크기가 점차 커지기에 마지막 5번째 파동이 가장 크다는 것이다.

 

이번 상승 파동이 어느 가격대에서 마감될 지는 현재로써 알 수가 없다. 다만 그나마 예측해 볼 수 있는 것은 기간이다. 앞선 두 싸이클의 주기가 정확히 1,064날로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렉탈의 원리에 따라 이번 상승장에서도 그에 준하는 기간동안 상승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로그 차트로 보면, 비트코인이 생겨난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상승장이 있다. 이 상승장과 그에 대한 조정 파동을 피보나치 확장 도구를 사용해서 비율을 측정해보면, 현재 1:1 구간에 거의 근접하여 조정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저항 구간도 예측해 볼 수 있는데, 1:1.13 비율 구간인 178K이다. 따라서 최고점을 넘겨 본격적인 렐리가 시작된다면, 최소한 178K까지는 상승 추세에 상응하는 매매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기간적으로 2025년 10월 20일부로 최고점이 예상되므로, 그 전까지는 가급적 하락 관점을 보는 것은 지양한다.


단기적인 추세로 넘어가보겠다.

WXY 미달형 복합 조정이 끝난 이후 두 개의 충격 파동이 형성되었다. 다만, 두 번째 충격 파동의 종료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다. 우선 마지막 5파가 정상적으로 파동 계산이 되지 않고, 1파와 2파의 패턴 상 추가 상승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지금 형성되고 있는 파동과 5파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상해 보겠다.


우선 가장 중점적으로 보고 있는 시나리오는 삼각수렴을 통한 4파 조정 이후 5파 진행이다. 총 두 가지의 형태 중 하나로 예상된다.

삼각수렴1
삼각수렴 2

위의 두 형태의 공통점은 B파이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에서는 B파(전고점)의 상승 돌파 여부가 중요하다. 무엇보다 흰색 추세선을 상방 돌파하기 위해 삼각수렴이라는 패턴으로 힘을 축적하는 것이 시장 흐름상 자연스러운 것 같다.


두 번째로 예상되는 시나리오는 엔딩 다이아고날이다. 다만 이 시나리오는 현 시장 흐름의 메커니즘 상 발생 확률이 현저히 적다.

엔딩 다이아고날

엔딩 다이아고날이 형성되면 이 패턴이 포함된 파동을 빠른 시간 내에 완전히 되돌린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 패턴이 형성되는 과정에 흰색 추세선을 상방 돌파하게 된다. 이 추세선의 경우 반년간 총 6번의 저항을 만들어낸 강력한 저항의 역할을 하였는데, 완전히 되돌려지기 위해서는 이 추세선을 다시 하방 돌파해야 한다. 엄청난 축적의 힘을 지니고 있는 이 추세선을 하방 돌파하는 것은 확률적으로 낮다고 보는 것이 옳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인 파동은 삼각수렴을 통한 4파 조정이라고 보는 것이 좋다.


이를 종합하여 생각해보면, 현재 진행 중인 파동이 흰색 추세선을 뚫고 추가 상승할 여력이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미달형 복합 조정 이후 진행된 상승 파동에 대한 시나리오를 위와 같이 예상해 볼 수 있다.

리딩 다이아고날의 형태가 진행될 거라고 추정 중인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a)파에 대한 (b)파 되돌림이 깊음
  2. 거래량이 적음

이 두가지를 종합해보면, 생각보다 매수세와 매도세의 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고 시장 참여자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격적인 렐리에 앞서 매도세가 줄어들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고점을 높이는 형태인 리딩 다이아고날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매매 전략

 

삼각수렴의 B파를 상방 돌파 후 흰색 추세선에 리테스트 시 추격 매수 진행

728x90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93 정신력의 중요성  (4) 2024.10.23
트레이딩 일지 #92  (0) 2024.10.22
트레이딩 일지 #90  (2) 2024.10.16
트레이딩 일지 #89  (1) 2024.10.14
트레이딩 일지 #88  (0) 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