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90 본문

트레이딩 일지

트레이딩 일지 #90

SimonGong 2024. 10. 16. 13:28

디스커버리 채널을 보면 야생동물이 사냥을 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이 장면을 보면서 사냥 실력에 감탄하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최소한 나는 그 장면에서 감탄보다는 징그러움, 피사냥 동물에 대한 측은함, 약간의 신기함 정도를 느낀다. 심지어 약한 동물은 사냥을 제대로 못해 먹다 남은 것을 몰래 먹는데,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

사냥을 하는 거에 감탄을 하지 않는 이유는, 그 동물이 살아남기 위해 잘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사냥을 잘한다'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래야 살아남는다'가 중요한 것이다.

이 관점은 투자에서도 중요하게 작용한는 것 같다. 투자를 잘하는 실력을 갖추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 실력의 목표는 생존이다.

 

투자는 복리로 자산을 증식하는 게임이다. 복리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잃지 않아야 한다. 즉, 잃지 않고 살아남아야 제대로 된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동물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먹다 남은 것이라도 먹어야 성장할 수 있는 것처럼, 잃지 않으려 발악하고 단돈 1원이라도 벌어야 이 투자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동물의 힘에 따라 살아남는 방식이 달라지는 것처럼, 지금의 나의 상태와 상황을 인지하고 그에 맞는 생존 전략을 구사하고자 한다.

 

이 생각을 하게 된 이유는, 내가 항상 '잘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을 인지했기 때문이다. 명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해, 선배들과 동기, 후배들 모두 대기업에 다니며 커리어를 쌓고 있으니, 나도 그에 준하는 실력을 쌓아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낀 것 같다.

이제는 관점을 '잘한다'보다 '살아남는다'로 바꿔 거래를 해보려 한다.


매매 복기

BTCUSDT Binance 15m. 24.10.16. 11:45

이전 분석에서 수립한 전략을 토대로 매매를 진행하였다. $68,000에 지정가 매도를 예약했는데, 0.06% p 차이로 계약이 안되었다. 어쩔 수 없이 목표 수익률 보다 약 3% p 적게 시장가로 체결하였다. 총 예치금의 50%를 매수하였고, 이 중 50%, 즉 총 예치금의 25%를 매도하였다. 나머지 25%는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

전량 매도를 하지 않는 이유는 아래의 이유 때문이다.

  1. 아직 상승 추세가 끝나지 않았음
  2. 추격 매수 시 평단가를 낮춤으로써 손실 확률을 줄어듦

본격적인 상승장이 시작된다면, 각 구간마다 절반만 매도하고 이후 다시 추격 매수하는 피라미딩 매매법을 사용할 것이다.


차트 분석

리딩 다이아고날 패턴으로 상승한 이후 충격 파동으로 재상승하였다.

 

앞서 충격 파동이 나타났기 때문에 다시 충격 파동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지만 5-3-5 지그재그나 5-3-5-3-5 리딩 다이아고날 혹은 충격 파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리딩 다이아고날과 충격 파동이 나타났는데, 리딩 다이아고날이 1파, 충격 파동이 3파가 되는 더 큰 충격 파동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최소한 한 번 더  68K 고점을 상방 돌파해야 시나리오가 폐기되지 않는다. 시나리오 폐기는, 추가 상승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리딩 다이아고날의 고점 가격을 하방 돌파하는 순간 이루어진다.

 

아직까지는 위와 같은 형태의 리딩 다이아고날이 진행 중이라는 시나리오를 유지하고 있다. 리딩 다이아고날로 생각하는 이유는, 2파가 1파를 상당 부분 되돌렸기 때문이다. 이것을 통해 매수세와 매도세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이해했고, 그렇기 때문에 매도세가 점차 약해지는 형식인 리딩 다이아고날을 생각하게 된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이 리딩 다이아고날 시나리오는 추가 상승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리딩 다이아고날의 고점 가격을 하방 돌파하는 순간 폐기된다.


매매 전략

우선 리딩 다이아고날 시나리오를 생각하고 있다고 해서 4파를 먹기 위해 숏 포지션에 진입하지는 않는다. 리딩 다이아고날을 형성하지 않고 강하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포지션을 모두 정리하지 않는다.

만약 하얀색 주요 추세선과 저항대가 겹치는 구간에서 리테스트 시, 추가 매수를 진행한다. 이 경우 예치금과 포지션의 비율은 50:50이다.

 

만약 위의 시나리오와 다르게 리테스트 없이 고점 돌파 시 추격 매수를 진행한다. 이 경우도 예치금과 포지션의 비율은 50:50이다.

 

스톱 로스는 충격 파동이 폐지되는 지점인 63.4K로 올렸다.


요약

플랜 1

리딩 다이아고날, 리테스트

추가 매수: $68,000

스톱 로스: $63,400

 

플랜 2

리딩 다이아고날 X, 즉시 최고점 돌파

추격 매수: $73,800

스톱 로스: $63,400

 

728x90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92  (0) 2024.10.22
트레이딩 일지 #91 시황 정리  (1) 2024.10.18
트레이딩 일지 #89  (1) 2024.10.14
트레이딩 일지 #88  (1) 2024.10.11
트레이딩 일지 #87  (2)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