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선물
- 매매 전략
- 트레이딩
- 차트분석
- 엘리어트 파동
- 다이버전스
- 피보나치 되돌림
- 이동평균선
- 비트코인
- 코인
- 투자
- 차트 분석
- 선물투자
- 매매 복기
- RSI지표
- 거래량
- 삼각수렴
- 매물대
- 선물 매매
- 엘리엇 파동 이론
- 엘리엇 파동
- 해외 투자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채널 매매
- 선물 투자
- 차트
- 해외투자
- 선물 옵션
- 지지 저항
- 헤드 앤 숄더
- Today
- Total
판교 트레이더의 일상
트레이딩 일지 #94 본문
매매 복기
ABC 조정파 중 B파 삼각수렴을 하방 돌파했다 판단하였고, 이후 강한 C파동이 64K까지 하락할 것을 예상하여 숏 포지션에 진입했다. 충격 파동이 나타날 가능성을 크다고 생각했기에 1파의 종점과 겹치는 구간에 스탑 로스를 걸었는데, 터치하면서 예약 거래가 수행되었다.
C파가 강하게 나올 것이라 생각한 이유는, 충격 파동의 5파가 엔딩 다이아고날의 형태로 나왔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짧은 시간 안에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을 완전히 되돌려야 했고, 그에 뒷받침하듯 삼각수렴이 형성된 것처럼 보였다.
욕심에 눈이 멀어 원칙에 어긋난다는 것을 알고있음에도 역추세 매매를 했다. 오히려 스탑로스로 손절이 된 것이 다행스러운 것 같다. 이로써 역추세 매매를 하는 것이 나의 매매법에 있어 승률이 좋지 않다는 것이 판별났고, 앞으로도 지양해야겠다고 다짐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차트 분석
이번 하락 파동을 통해 위의 엔딩 다이아고날 패턴이라 여겼던 것이 어쩌면 아닐 수도 있겠다는 것을 알았다.
짧은 시간 안에 강하에 하락하며 완전히 되돌려야 하는데, 흐지부지 시간을 들이면서 오르고 있는 것을 보아, 높은 확률로 엔딩 다이아고날이 아닐 것이다.
엔딩 다이아고날이 형성되기까지 5날이 소요됬는데, 조정파는 약 4일간 지속되고 있다. 지금의 상승하는 추세의 형태로 보아, 하락하더라도 빠르게 하락할 것 같지 않기에 5날을 넘기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엔딩 다이아고날이 아닌 것이 확정되게 된다.
물론 현재 시점으로 강한 하락이 이루어지며 5일 안에 완전히 되돌릴 수도 있지만, 이 되돌림 기간이 형성 기간에 준하게 소요된 것부터 엔딩 다이아고날이 아닐 확률이 높다.
따라서 엔딩 다이아고날 5파 계산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였다.
예상해 볼 수 있는 것은 충격 파동 형성 후, 불규칙 조정이 나타나는 것이다.
B파가 A파 대비 1:1.382를 넘어섰기 때문에, C파는 B파를 완전히 되돌릴 수 없다는 글렌 닐리의 규칙을 잘 따르고 있다. 따라서 기준에 부합하므로 충분히 가능한 계산이다.
사실 기존의 계산을 엔딩 다이아고날 형태의 5파가 나온다고 하지 않고 위 처럼 했는데, 어쩌면 불규칙 조정 같은 명확하지 않은 것을 싫어했기에 그랬을 수도 있다라는 생각이 든다.
해당 불규칙 조정파는 강세 조정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충격 파동의 0.236 정도이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본격적인 렐리가 시작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위는 4시간 봉 차트이다. 기존의 관점인 리딩 다이아고날은 여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상승 파동이 마지막 5파가 될 것으로 보고있다.
다만 해당 관점도 높은 확률로 틀릴 것 같은게, 직전의 조정 파동이 강세 조정이 나오면서 강한 상승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게 될 경우 리딩 다이아고날의 상단선을 돌파해야 한다.
3파로 예상되는 파동의 최소 1:1 비율로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다소 리딩 다이아고날과는 거리가 먼 형태가 된다. 더욱이 강세 조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1.618배의 상승 가능성이 있기에 리딩 다이아고날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이로 인해 이전의 시나리오를 모두 폐기하고 다시 계산을 해야한다.
가장 유력하게 보고있는 시나리오는 WXY 복합 조정 파동이 형성 된 이후부터 리딩 다이아고날이 진행된 것이다. 만약 해당 시나리오가 옳다면, 리딩 다이아고날의 5파 이후에 불규칙 조정파를 통한 강세 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당 시나리오가 확정되는 전제 조건은 최고점인 74K를 넘어서는 것이다.
매매 전략
충격 파동 이후 강세 조정의 형태로 조정이 마감되었으므로 상승 추세가 더욱 지속될 것으로 판단, 이에 리스크를 짊어지고 추격 매수를 하였다.
불규칙 조정 파동의 b파를 넘어서면 추세가 확실해지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 추가 매수를 한다. 스탑 로스는 새로운 충격 파동이 시작되리라 예상되는 파동의 시작점이다.
포지션: 롱
배율: 10
비중: 25%
평균진입가격: $68,228
추가 매수: $70,000
스탑 로스: $67,900
익절가: 미정
'트레이딩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일지 #96 매매법 정리 (1) | 2024.10.28 |
---|---|
트레이딩 일지 #95 (0) | 2024.10.26 |
트레이딩 일지 #93 정신력의 중요성 (4) | 2024.10.23 |
트레이딩 일지 #92 (0) | 2024.10.22 |
트레이딩 일지 #91 시황 정리 (1) | 2024.10.18 |